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726
이 문제는 앞에서 포스트 했던 '이친수' 문제와 상당히 유사합니다.
경우의 수를 나열해 보아도 쉽게 규칙이 보이지만, 이론적으로 생각해 보아도 쉽게 규칙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.
위 그림은 i = 5 일 때의 예시입니다.
따라서 이와 같은 알고리즘을 코드로 구현하면 쉽게 풀이가 가능합니다.
'알고리즘 > 백준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, 파이썬] 15664번 N과 M(10) (0) | 2020.07.28 |
---|---|
[백준, 파이썬] 2193번 이친수 (0) | 2020.07.28 |
[백준, 파이썬] 히든 넘버 (0) | 2020.07.28 |
[백준, 파이썬] 15657 N과 M(8) (0) | 2020.07.20 |
[백준, 파이썬] 1937번 욕심쟁이 판다 (0) | 2020.07.20 |